http://v.media.daum.net/v/20180705040402808
------------------------------------------------------------------------------
내가 그랬지 ...
일반 시민은 아이가 필요없다고 ...
아이가 필요한 놈은 국가아닌가 ? 인구가 확보되어야 나라가 돌아가니까 ...
그러면 국가가 애 키울 돈을 줘야지 ..
그런데 말이다... 학교는 전교조가 장악해서 이념교육이나 시키지 ? 그러면 기가 차서 애 낳기 싫겠지 ?
애 나하 낳아 키우는데 억 단위 돈이 들어가는데 뭐 ?? 수십만원 준다고 ? 개가 웃겠다..
쌔가 빠지게 벌어도 재산세다 부동산 보유세다 뭐다 ... 다 뜯어가니 허탈해서 일하기 싫겠지 ?
돈이 필요해서 일하고 싶어도 노동시간 외에는 일 하지 말고 집에 가라고 하지 ?
저녁이 있는 시간 ? 남자가 집에 와서 뭐할까 ? 드러누워서 테레비나 본다고 ..
현실을 알고 애 낳아라고 해라..
너거들이나 줄줄이 많이 낳아서 잘 키워봐라.
------------------------------------------------------------
백약이 무효인 저출산.. 시민들에게 들어본 고충·해법
젊은 세대에게 결혼은 선택사항일 뿐이다.
“그래도 해야지”라는 중장년층의 푸념 섞인 재촉은 더 이상 설득력이 없다.
30대 미혼 남성 전병옥씨는 “아직도 결혼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유는 명확하다.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사는 삶은 포기해야 할 게 많기 때문이다.
20대 미혼 여성 최모씨는 “일, 경력, 공부를 즐기자는 쪽인데 결혼하면 출산과 육아로 그렇게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집 장만 걱정도 출산 기피 현상을 부른다. 30대 미혼 여성 윤모씨는 “정부가 지원하는 아파트 등은 너무 복잡한 절차를 거친다. 정부 정책은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 고 말했다.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이렇게 생각하는 게 아니다.
결혼을 하고 육아를 시작하면 ‘상상 이상의 세상’ 이 펼쳐진다.
워킹맘 고선영씨는 “구립이나 시립어린이집에 보내지 못하면 출퇴근에 맞춰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데려오는 일이 불가능하다. 너무 힘들다” 고 토로했다.
저출산 정책은 숫자만 많을 뿐 워킹맘의 한(恨)을 해소하지 못한다.
정책과 현실 사이에 간극도 크다.
둘째를 갖고 싶어 하는 워킹맘 한희숙씨는 “고용복지센터에 가서 물으면 출산·육아휴가도 있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근무하는 제도도 있다고 소개한다. 내 권리라고 말한다. 하지만 막상 회사에 요청하면 되는 게 없다” 고 설명했다.
‘애국자’로 불리는 다자녀 가구의 고충도 비슷하다.
당장 자녀의 등하교가 문제다. 최저임금보다 더 많은 돈을 준다고 해도 아이를 돌봐줄 사람을 구하기 어렵다.
다자녀 엄마인 안희숙씨는 “지역 ‘맘카페’에 가면 시간당 1만원 준다며 등하교 도우미 구하는 이들이 넘쳐난다”고 전했다. ‘
흙수저’가 다자녀를 키우는 게 신기한 일처럼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전업주부 최수현씨는 “아기 예방접종에 20만∼30만원 들어가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가면 영어학원비로만 한 달에 20만원”이라고 꼬집었다. ‘저녁 있는 삶’의 저출산 해소 효과도 의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전업주부 방정희씨는 “어릴 때는 손이 많이 가서 아빠가 필요하지만 다 크고 나면 일찍 들어오는 아빠는 그리 도움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저출산 정책의 허점을 꾸짖는 다양한 목소리는 기획재정부가 지난달 3∼10일 세 차례에 걸쳐 마련한 ‘저출산 관련 정책수요자 좌담회’에서 나왔다. 미혼 남녀부터 맞벌이 부부, 전업주부, 다자녀 가구까지 각자의 애로사항을 쏟아냈다.
이 가운데 공통점이 있다. 정부의 정책이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는 것이다.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12년간 저출산 대책으로 124조원을 투입했지만 출산율이 뚝뚝 떨어지는 건 당연한 결과다.
좌담회 참석자의 대부분은 주거나 학원비처럼 경제적인 부분이 걸림돌이라고 하소연했다.
다만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고 해서 저출산이 해소되지는 않는다고 했다.
워킹맘 박영하씨는 “돈이 문제가 아니라 내 아이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현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맨 난민 옹호하는 정우성을 향한 ..... (0) | 2018.07.09 |
---|---|
우리나라 식량 자급율 겨우 16% (0) | 2018.07.06 |
이슬람학자가 말하는 이슬람 (0) | 2018.07.05 |
이게 무슬림이다. (0) | 2018.07.05 |
홀아비는 이가 서말 ?? (0) |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