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크로매틱 하모니카 주법

낙동대로263 2018. 7. 14. 20:46


-----------------------------------------------------------

이러한 여러가지 주법이 있기는 하지만 ....

최근에는 많이 다르지 ...

-----------------------------------------------------------




크로매틱 하모니카 주법

 

[1] 도쿠나가 노부오의 홈에서

 

크로마틱크하모니카를 부는 경우, 크게 나누면

텅블럭(Tungue Blocking) 주법퍼커(Puckering) 주법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텅블럭 주법은 주로 클래식 연주자가 이용하는 주법으로

마우스피스를 2홀 이상 크게 입에 물고 불필요한 부분(주로 좌측)을 혀로  막아
입의 우측 부분으로부터 공기를 드나들게하는 주법입니다.

퍼커 주법은 1개의 구멍을, 입을 동글게 오므려 공기를 불어 넣은 방법입니다.
파퓰러, 재즈의 연주자는 거의 이 방법을 이용합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어느 쪽이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2] '크로매틱하모니카매니아' 

 

Pucker - 입모양을 동그랗게 오므려 한구멍만을 부는 방법.

장점이라면
1. 초보자들이 쉽게 시도해 볼 수 있고
2. 밴딩주법을 쓰기가 쉬우며
3. 연주시 혀를 이용한 트레몰로 테크닉이 가능하는 것입니다.

단점은 안정된 음색 및 음정을 만들기가 어렵지요...하지만 이것을 잘 다스리게 되면
환상의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Tongue block - 혀를 이용하여 불고자 하는 음의 왼쪽 2~3구멍을 막고 부는 방법.

장점은
1. 안정된 음색과 음정이 쉽게 나오며
2. 코드를 포함한 연주가 가능합고
3. corner switch 주법을 쓸 수 있습니다.

단점은
1. pucker보다 배우기 힘들며
2. pucker에 비해 밴딩이 어렵습니다.


< U-block은 >
혀를 U자 모양으로 말아서 부는 방법입니다만,

선천적으로 불가능한 사람이 있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쓰이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다른 주법에 비해 특히 탁월한 이점도 저는 찾지 못하겠습니다.

pucker와 tongue block은 배우기 쉽고 어려움을 떠나 그 방법 만의 독특한 음색과 주법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가지만을 고집하여 사용하기 보다는 곡에 따라 모든 주법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pucker를 먼저 완전히 익히시고 tongue block에 도전해 보세요...

 

 

[3] Schmel 이 권하는 방법.

 

Schmel은 텅블럭주법을 권합니다.

 

퍼커주법은

입모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입 주위의 근육이 경직되고, 입안의 용적이 적어 호흡을 자주해야 하기 때문에 그 호흡소리가 소음이 됩니다.

 

텅블럭 주법은

입모양이 커서 많은 공기를 담을 수 있고, 근육이 부드러워 파워플한 연주를 할수 있으며, 다양한 악상 표현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Schmel은 실제로 5분을 연주할 경우 퍼커주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약 20초 정도라고 합니다